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부틸론의 사랑 고백을 들어 보셨나요?

by 초록노을 2025. 2. 7.
반응형

 

 

1. 아부틸론과 무늬아부틸론 알아보기

 

아부틸론은 브라질이 원산지라서 브라질 아부틸론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아부틸론의 학명은 Abutilon megapotamicum

아욱과 에 속하며 아열대지역에 분포합니다.

꽃의 모양이 청사초롱을 닮았다고도 하고 무궁화꽃을 연상하게 해서 무척이나 익숙한 느낌입니다.

 

 

꽃이 개화하는 시기는 초여름부터 늦가을 까지로 알고 있는데 조건이 맞는 환경에선 사계절 꽃을 피우기도 합니다.

꽃은 잎의 겨드랑이에서 꽃망울을 내어줍니다.

보통의 아부틸론과 잎에 산반적인 무늬가있는 무늬 아부틸론이 있는데 잎의 모양과 무늬가 다른 독특함이 있습니다.

 

무늬아부틸론잎 , 아부틸론잎

 

아부틸론은 열대 식물인 만큼 물을 좋아하고 물이 부족할 때에는 잎이 축 쳐져서 물 관리에 크게 힘들이지 않아도 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초보자도 키우기 쉬운 식물입니다.

아부틸론은 키가 2m 이상 자라기 때문에 적정한 때가되면 순집기로 수형을 잡아주어야 합니다.

곁가지를 잘라 풍성하게 만들어주고 자른 줄기는 물꽃이나 삽목으로 개체를 늘려서 키울 수 있습니다.

대체로 삽목 성공률은 높고 생명력이 강해서 키우기 쉽습니다.

어느 정도 건조에 강하지만 병충해 흰가루이가 잘 생기는 편이므로 다습을 좋아하는 만큼 공중습도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생육 온도는 통상적으로 10도~24도이며 최저온도는 3도 내외 이므로 겨울은 실내에서 보내야 합니다.

 

 

 

아부틸론의 꽃말은 `당신을 영원히 사랑합니다.' 꽃만큼이나 예쁜 꽃말을 가지고 있어 설레게 하는 식물이기도 합니다.

다시 한번 아부틸론의 고백을 받고 싶습니다.

 

 

2. 사랑스러운 아부틸론 이야기

 

블로그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블로그 이웃이신 배추도사님께서 무늬종과 일반종 두 줄기의 아부틸론

나눔 주셨습니다. 뿌리내리고 자리 잘 잡는 듯했는데 그해겨울 이사하는 동안 냉해를 입어 잎을 다 떨구고 줄기만 남은 뼈다귀 아부틸론의 모습으로 저를 슬프게 했습니다.

그러나 생명력 강한 아부틸론은 새순을 내기 시작하고는 이듬해 초여름쯤 되니 꽃망울을 달기 시작합니다.

 

처음 본 일반아부틸론 하양이와 무늬종의 주황색 꽃이 얼마나 예쁘던지 안 죽고 잘 살아나준 것에 감사하는 마음이 생겼답니다. 키가 많이 큰다 하기에 외목대 아부틸론 이를 만들곗다고 옆가지 잘라내 삽목하고 순집기를 해주니 점점 풍성해지고 많은 꽃을 대롱대롱 달아줍니다.

 

 

 

꽃을 본 후

짧게 자르고 더 열심히 순집기를 해주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여름이라 삽목이 잘 안 되는 시기인 만큼

가을까지는 못난이 아부틸론 일지라도 꽃만 보기로 하고 가을을 기다려 봅니다.

더 멋진 모습으로 만나는 그날까지 파이팅!!!

 

 

3. 아부틸론 키우기 총정리

 

1) 아부틸론 물 주기

 

배수 좋게 상토와 마사, 펄라이트를 7:3 정도를 분갈이 해준후 겉흙이 살짝 마르는 듯하면 물 주기 합니다.

(물을 좋아하는 아부틸론은 물이 부족하면 잎이 축 쳐지고 꽃이 활짝 피지 않습니다.)

 

2) 습도 조절해 주기

 

아부틸론은 다온다습을 좋아하므로 물이 마르지 않게 관리하며 공중 습도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너무 건조하면 흰 가루이병에 잘 걸립니다,)

 

3) 햇빛관리

 

충분한 빛을 보아야 꽃이 활짝 개화합니다.

(빛이 부족하면 줄기가 웃자라고 많은 꽃을 볼 수 없습니다.)

 

4) 삽목, 번식하기

 

봄에 길게 나온 곁가지를 잘라 물꽂이로 뿌리를 내려 화분에 옮겨 심어 줍니다.

(흙에 바로 삽목 할 때에는 흙이 마르지 않게 하고 반그늘에서 뿌리내릴 때까지 관리합니다.)

여름에는 삽목 잘 안됨 주의!

 

5) 수형 만들기

 

키가 많이 크는 아부틸론은 적당한 계획을 잡아 수형관리 합니다. 곁가지를 자르고 무성한 잎과 꽃을 보기 위해 열심히 순집기를 해줍니다.

너무 잦은 가지치기는 꽃을 보는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 ❤ ❤ ❤ ❤ ❤ ❤ ❤

 

 

 

 

반응형